우리나라에선 프로젝트 개발 표준이 개발자의 창의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순전히 지침 역할 만하기를 기대하는 건 정말 꿈 같은 일일까? 09.12.07 16:00
개발 프로젝트 표준 창의력 품질 / 샘플 코드 C&P만 할 수 있는 개발자는 샘플 제공 안 된 기능은 구현 못한다고 하고 뭔가 잘해보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에게는 표준 준수 위원회의 징계가 내려진다.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도도 도전도 없고 오직 C&P만 있는 개발의 좋은 점은 일정이 명확하다는 것이겠지요. 개발자에겐 지옥같은 상황이지만 관리자와 사측 입장에선 위험요소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니 위원회를 만들어 징계를 내려서라도 개발자들을 통제하려 하겠지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ㅜㅜ
개발자의 창의성은 정말 꿈이 되어버릴지도 모르겠어요. 상위 1%의 선택받은 개발자가 만들어낸 컴포넌트를 99%의 하위 개발자들이 조립만 하는 시대가 온다는 말이 웬지 틀리지 않은듯 해요. 플렉스, 루비 같은... 요즘 나오는 개발 언어들의 발전 형태를 봐도 ㅜㅜ;;;
정영진 : 그 만큼 우리가 하는 일이 (중복없이) 단순한 독립 모듈의 집합일 수도 있기는 한데요...음... 그런 상황은 신경 쓰기도 싫군요.
정영진 : 서브 시스템은 컴포넌트 재 사용이 가능하지만 업무는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한데 말이죠. 오히려 분석/설계/구현 관련 패턴이 재사용되는... 역시 막강 C&P 패턴(이렇게 말하는 거 정말 싫어하는데)의 승리 일까요? -_-
개발자에게도 블루오션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힘겹지만, 레드오션을 벗어나려는 시도를 해야죠... 다함께 원피스를 만화를 읽자구요... (응?)
해맑은 공감합니다. 너무 편하게 돈 벌려고 해서 이모양...
((아흑! 그래서 내가 돈 못 벌었구나.. ㅠㅠ))
시도도 도전도 없고 오직 C&P만 있는 개발의 좋은 점은 일정이 명확하다는 것이겠지요. 개발자에겐 지옥같은 상황이지만 관리자와 사측 입장에선 위험요소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니 위원회를 만들어 징계를 내려서라도 개발자들을 통제하려 하겠지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ㅜㅜ
09.12.07 16:35개발자의 창의성은 정말 꿈이 되어버릴지도 모르겠어요. 상위 1%의 선택받은 개발자가 만들어낸 컴포넌트를 99%의 하위 개발자들이 조립만 하는 시대가 온다는 말이 웬지 틀리지 않은듯 해요. 플렉스, 루비 같은... 요즘 나오는 개발 언어들의 발전 형태를 봐도 ㅜㅜ;;;
09.12.07 16:37정영진 : 그 만큼 우리가 하는 일이 (중복없이) 단순한 독립 모듈의 집합일 수도 있기는 한데요...음... 그런 상황은 신경 쓰기도 싫군요.
09.12.07 16:38정영진 : 서브 시스템은 컴포넌트 재 사용이 가능하지만 업무는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한데 말이죠. 오히려 분석/설계/구현 관련 패턴이 재사용되는... 역시 막강 C&P 패턴(이렇게 말하는 거 정말 싫어하는데)의 승리 일까요? -_-
09.12.07 16:43개발자에게도 블루오션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힘겹지만, 레드오션을 벗어나려는 시도를 해야죠... 다함께 원피스를 만화를 읽자구요... (응?)
09.12.07 16:52해맑은 공감합니다. 너무 편하게 돈 벌려고 해서 이모양...
09.12.07 16:54((아흑! 그래서 내가 돈 못 벌었구나.. ㅠㅠ))
09.12.07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