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BDD에 JBehave 같은 테스팅 프레임웍이 따로 있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그냥 JBehave를 쓰는 것 만으로 BDD를 한다는 착각 할 수도 있을 듯... JUnit 4부터는 naming pattern 대신 annotation을 쓰고 있으니... 09.09.03 16:39
bdd tdd jbehave junit4 더구나 hamcrest도 있고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BDD란 말 자체가 낚시성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낚시로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
ㄴ 사실 Test라는 단어가 자꾸 시나리오 보다 구현에 집중하게 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BDD의 의도는 이해하지만 꼭 별도 도구가 있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BDD라는것이 TDD보다는 개념적도약이 쉬울 것 같으나 JBehave는 행위를 검증한다는 면에서 JUnit보다는 더 어려운것 같습니다.
BDD란 말 자체가 낚시성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낚시로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
09.09.03 16:47ㄴ 사실 Test라는 단어가 자꾸 시나리오 보다 구현에 집중하게 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BDD의 의도는 이해하지만 꼭 별도 도구가 있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09.09.03 16:54BDD라는것이 TDD보다는 개념적도약이 쉬울 것 같으나 JBehave는 행위를 검증한다는 면에서 JUnit보다는 더 어려운것 같습니다.
09.09.03 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