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DI에 관심이 있고 없는 이유 는 "코드는 만들기 어렵고 유지보수와 제작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가능한 재사용해야 한다" V.S. "코드는 만들기 쉬우니까 필요할 때 다시 만들면 된다" 아닐까요? 09.09.22 09:41

Java 진영에서만 DI, IoC 얘기가 나오는 이유는 Java가 언어 primitive들에 대해 언어 자체만으로는 대체가능하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내 생각에는 testability가 관건이고, 이를 위해 구현 클래스를 다르게 사용해야 한다. by 홍민희

미투 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험블 험블

논의 중간에 끼어들어서 죄송하지만, 민희님이 말씀하신것과 같이 DI라는 것이 Static Typing 언어의 영역 밖으로 나오게 되면, 이미 의미 자체가 희석된다고 생각합니다. 포괄적인 추상화개념으로 생각하신다면 그건 이미 Architectural Pattern이겠지요 :)

09.09.22 09:45
험블 험블

이 스레드 가 조금이나마 논의 진행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09.09.22 09:46
선이 써니

DI의 대한 논의 에 끼어들 지적 능력이 안되서... 한탄 중... 닥치고 DB 설계나... 고수 분들이 너무 부럽군요. 동종 업계 까는 거 잘 안하는데 차세대 플랫폼 설계 하며 다른 회사 DB 설계 보니 IT 업계에서 날로 먹는 인간들 참 많아.

09.09.22 09:50
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아… DI. 어쨌든 똑같지 않나.

09.09.22 09:50
fupfin fupfin

험블 : 아우 죄송하긴요. 오히려 감사할 뿐입니다. 잘 읽어보겠습니다.

09.09.22 10:03
다즐링 다즐링

그래서 솔직히 파이썬 스프링 이런거 왜 하는지 잘 모르겠...;

09.09.22 10:08
fupfin fupfin

다이나믹 타입 언어에서의 DI 문제 관련 글을 읽다 보면 디자인 패턴.. 아니 SOLID 같은 객체지향 원칙(그중에서도 핵심인 OCP )에 대한 고민 자체가 없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 흥미롭게 연구해 볼 주제 같다.

09.09.22 11:51
네피림 nephilim

이 논의가 너무 재밌습니다. Offiline으로 하고 싶은데.. ((하지만 고수님들을 넘어선 괴수님들이… -_-;))

09.09.22 12:22
rath rath

코딩 중에 어떤 녀석이 자꾸 의존성이라고 인지되기 시작하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때가 DI를 적용해야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09.09.22 17:59
rath rath

중소규모 프로젝트인 경우 프로그래머 한 사람이 의존성이건 비지니스로직이건 다 책임져야하는 경우가 많으니 DI 좋아하는 사람을 이상하게 여기는 것이 자연스러운게 아닌가도 싶고요.

09.09.22 18:03
rath rath

(( 하지만 다중이들은 DI를 좋아해요 ))

09.09.22 18:04
fupfin fupfin

ㄴ 아항! (응?!)

09.09.23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