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준님의 Wiki 사용 사례 를 보면 아직 Wiki가 충분히 보급되지도 Wiki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도 않은 것 같다. (Wiki를 쓸까? 하다가 너무 단순하다는 이유로 복잡한 툴을 찾았던 일이 한두번도 아니고...) 09.09.24 20:1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Wiki의 한계는 여전히 사용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보다 작은 노력을 통해 구조적으로 지식을 쌓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게 앞으로의 과제구요… ㅎㅎ
그래서 google notebook 정도의 저작 툴과 함께 쓴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spring note는 기능이 너무 많아서 내용 보다는 편집에 신경을 너무 쓰게 되는 듯 하고요.
팀에서 위키 대신 스프링노트를 쓰고 있습니다. 위키보다 쉽긴 하지만 programmability는 조금 부족하죠. 그래도 정보를 팀 전체가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아요.
Wiki의 가장 큰 장점이 지식을 구조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다는 것인데 아무래도 저작툴을 사용한다면 코드가 지저분해지고 파싱하기도 어려워 보다 semi-automatic한 증식이 어려워지죠..
그래도 1차 목표는 효과적인 저작툴의 제공이고 media wiki도 그쪽으로 가고 있는 듯 하더군요….
백변괴 예. 김창준님 말씀의 요지도 무슨 툴을 쓰던 공유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 같습니다.
이코다 : 맞습니다. 컨텐츠를 깨끗하게 작성하는 게 중요하죠. mediawiki에서도 wysiwyg 편집기 붙이며 그 부분에 신경을 많이 쓰는 듯 합니다.
저도 아직 위키는 적응이;;ㅋㅋ안되욥;
Wiki의 한계는 여전히 사용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보다 작은 노력을 통해 구조적으로 지식을 쌓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게 앞으로의 과제구요… ㅎㅎ
09.09.24 20:15그래서 google notebook 정도의 저작 툴과 함께 쓴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spring note는 기능이 너무 많아서 내용 보다는 편집에 신경을 너무 쓰게 되는 듯 하고요.
09.09.24 20:19팀에서 위키 대신 스프링노트를 쓰고 있습니다. 위키보다 쉽긴 하지만 programmability는 조금 부족하죠. 그래도 정보를 팀 전체가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아요.
09.09.24 20:20Wiki의 가장 큰 장점이 지식을 구조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다는 것인데 아무래도 저작툴을 사용한다면 코드가 지저분해지고 파싱하기도 어려워 보다 semi-automatic한 증식이 어려워지죠..
09.09.24 20:22그래도 1차 목표는 효과적인 저작툴의 제공이고 media wiki도 그쪽으로 가고 있는 듯 하더군요….
09.09.24 20:22백변괴 예. 김창준님 말씀의 요지도 무슨 툴을 쓰던 공유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 같습니다.
09.09.24 20:22이코다 : 맞습니다. 컨텐츠를 깨끗하게 작성하는 게 중요하죠. mediawiki에서도 wysiwyg 편집기 붙이며 그 부분에 신경을 많이 쓰는 듯 합니다.
09.09.24 20:24저도 아직 위키는 적응이;;ㅋㅋ안되욥;
09.09.25 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