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에게 자바가 좋은가? RoR이 좋은가? 10.04.11 18:48
총 점수는 같지만 비지니스적 가치는 확장성 보다 출시 기회를 맞추는 것이 높다. 문제는 자바가 생산성을 높이는 쪽이 빠를까 RoR이 확장성을 보강하는 쪽이 빠를가? 2년가량 지난 지금 시점의 평가는?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에서는 인력수급 문제도 고려해야 겠지요. 좋지 않은 근무환경 속에서 이직율이 꽤 높은데 말이에요.
재밌는 자료네요. 기업의 규모가 자르고 Time to Market 주기가 작고 빨라야할수록 RoR과 같은 경량화 기술을 보다 선호할것 같습니다 ^^ 결국은 Case by Case겠네요
꼬룸 : 그렇죠. 인력 수급... 그런데 그렇게 수급한 인력은 대부분 꽝...ㅠㅠ 믿을 수 있는 소수가 최고의 생산성과 높은 품질로 일할 수 있다면 그게 정답일 듯 합니다.
험블 : 그렇겠죠? 분야마다 강조점이 다를테니...
Python이염! ㅋㅋ
우리 애들은 RoR 물어보면, "들어는 봤다"가 절반이고, 나머지는 RoR이 "ROI"아니냐고 물을 듯.. -_-;
맹수 : 요즘 파이선 공부 중...ㅋㅋ
나모 : 뭐... 돈 버는 데 필요 없으니까요. -_-
우리나라 기업에서는 인력수급 문제도 고려해야 겠지요. 좋지 않은 근무환경 속에서 이직율이 꽤 높은데 말이에요.
10.04.11 18:57재밌는 자료네요. 기업의 규모가 자르고 Time to Market 주기가 작고 빨라야할수록 RoR과 같은 경량화 기술을 보다 선호할것 같습니다 ^^ 결국은 Case by Case겠네요
10.04.11 19:00꼬룸 : 그렇죠. 인력 수급... 그런데 그렇게 수급한 인력은 대부분 꽝...ㅠㅠ 믿을 수 있는 소수가 최고의 생산성과 높은 품질로 일할 수 있다면 그게 정답일 듯 합니다.
10.04.11 19:09험블 : 그렇겠죠? 분야마다 강조점이 다를테니...
10.04.11 19:10Python이염! ㅋㅋ
10.04.11 19:56우리 애들은 RoR 물어보면, "들어는 봤다"가 절반이고, 나머지는 RoR이 "ROI"아니냐고 물을 듯.. -_-;
10.04.11 20:38맹수 : 요즘 파이선 공부 중...ㅋㅋ
10.04.11 20:40나모 : 뭐... 돈 버는 데 필요 없으니까요. -_-
10.04.11 2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