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들은 자바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반드시 자바를 해야 한다거나 잘 해야 한다는 강박 같은 거... 10.03.23 11:03
정작 자바 개발자 중 상당 수는 로직 대부분을 SQL에 넣고 있지... 자바는 거들 뿐
3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OTL
ㅎㅎㅎ
orz
그가 모든 자 곧 작은 자나 큰 자나 부자나 가난한 자나 자유인이나 종들에게 그 오른손에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누구든지 이 표를 가진 자 외에는 프로그래밍을 못하게 하니 이 표는 곧 짐승의 이름이라
같은 의미로 C를 모르면 개발자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죠.
칩스블루 c 는 몰라도 되는데 시퓨나 메모리 돌아가는걸 알려면 어셈이나 씨를 알아야죠. 둘중하나만 하면 됩니다.
칩스블루 c 나 어셈 둘중 하나 고르세요 ㅋㅋㅋ
대.공.감.
다즐링 : 이진 바이너리 코드 보고 어셈블러 니모닉 유추하지 못하면 개발자가 아니잖아요? 그냥 타이피스트지...
fupfin 어 당연한거 아닌가요?
fupfin 그거 대학교때 다하자나요?
다즐링 : 그죠? 그죠?
fupfin 그거 시험문제로 나오는데 패스해야 졸업하지 않음?
응? 그래요?
전 파이썬에 대해 같은 느낌을 받았었죠. 파이썬 못 하면 x되는건가? 하고.
다즐링 : 요즘은 어떤 어셈블러 배우나요? 전 IBM 메인 프레임.. System 370...;;;
안드로메다-토끼 : 뭐가요? -_-)a
fupfin 기본이 mips , arm 이구요. 2007년인가 그렇게 배웠습니다.
pcpenpal : 배타적인 기술 추구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이죠. 물론 어떤 기술을 선호하는 걸 뭐라고 해서는 안 되겠지만...
다즐링 : 와~ x86도 아니고 arm이군요. 좋다~
fupfin x86 어셈은 2학년때 합니다.
다즐링 : 캑! 4년이 너무 짧겠습니다.
글쎄요 전 대졸하려면 기본으로 저정도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셈은 대략 3가지는 배워야하고 알고리즘 디비 컴파일러 등등..
전 전공으로 대부분의 학점을 채웠죠.
다즐링 님 넘 무서워요. ㅋㅋ 학과마다 좀 다르겠지만 전 언어 시간 좀 줄이고 설계나 분석 쪽을 조금 더 가르쳤으면 좋겠어요. 커뮤니케이션과 문서 작성하는 방법도…
fupfin 대학교에서 언어도 가르키나요? 그런 학교가 어딨어요?? 1학년때 말곤 안가르키지 않나요?
fupfin 저희학교는 설계나 분석이 3/4학년 과목에 많습니다. 근데 중요한건 언어보다 컴파일러나 관련 지식이 필요한데 그걸 못하는 사람이 많다는거.. 설계나 분석도 코딩하다보면 느는건데 그걸 굳이 방법론을 통해서 배우는 이유도 잘 모르겠네요.
다즐링 : 그럼 다행이구요. 최근 전산과 커리는 잘 몰라서... 그런데 어셈블러도 언어 아닐지...;;;
fupfin 어셈에 대해서 배우는 이유는 arm 구조나 mips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배우는거죠. 어셈에 왜 이렇게 아규먼트가 넘어가는지 니모닉이 어떻게 인코딩 되는지를 배우는거죠.
다즐링 : 결국 전산과도 세분화되어야겠군요. 아니면 학교마다 전산을 바라보는 철학을 분명히 하거나...
fupfin 세분화한다는게 전 좀 더 이상하구요. 설계나 아키텍쳐 지향 이런건 좀 싫네요. 하다보면 자동으로 되는건데 .. 물론 good parts 를 배우는건 좋음 딱히 과목으로 나올필요까지는 없을듯합니다.
다즐링 : 그런데 그 good parts라는 게 논쟁이 치열한... 합의가 안 된 영역이라서요. ^^
fupfin 차라리 커뮤니케이션이나 / 글 쓰는법 / 고객을 대하는법 / 사람상대법이 더 중요한듯..
fupfin 뭐 그거야 개인판단이죠. 코딩을 해보면 뭐가 나쁜지 아닌지 알수 있습니다. ㅎㅎ 물론 상황마다 다름
다즐링 : 저도 방법론은 별로 안 좋아해요. ^^ 커뮤니케이션은 정말 중요한...
반성...-,-
그린 : 손 들고...(응?!)
OTL
10.03.23 11:03ㅎㅎㅎ
10.03.23 11:04orz
10.03.23 11:06그가 모든 자 곧 작은 자나 큰 자나 부자나 가난한 자나 자유인이나 종들에게 그 오른손에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누구든지 이 표를 가진 자 외에는 프로그래밍을 못하게 하니 이 표는 곧 짐승의 이름이라
10.03.23 11:09같은 의미로 C를 모르면 개발자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죠.
10.03.23 11:10칩스블루 c 는 몰라도 되는데 시퓨나 메모리 돌아가는걸 알려면 어셈이나 씨를 알아야죠. 둘중하나만 하면 됩니다.
10.03.23 11:11칩스블루 c 나 어셈 둘중 하나 고르세요 ㅋㅋㅋ
10.03.23 11:11대.공.감.
10.03.23 11:27다즐링 : 이진 바이너리 코드 보고 어셈블러 니모닉 유추하지 못하면 개발자가 아니잖아요? 그냥 타이피스트지...
10.03.23 11:30fupfin 어 당연한거 아닌가요?
10.03.23 11:32fupfin 그거 대학교때 다하자나요?
10.03.23 11:32다즐링 : 그죠? 그죠?
10.03.23 11:36fupfin 그거 시험문제로 나오는데 패스해야 졸업하지 않음?
10.03.23 11:36응? 그래요?
10.03.23 12:12전 파이썬에 대해 같은 느낌을 받았었죠. 파이썬 못 하면 x되는건가? 하고.
10.03.23 12:38다즐링 : 요즘은 어떤 어셈블러 배우나요? 전 IBM 메인 프레임.. System 370...;;;
10.03.23 14:00안드로메다-토끼 : 뭐가요? -_-)a
10.03.23 14:01fupfin 기본이 mips , arm 이구요. 2007년인가 그렇게 배웠습니다.
10.03.23 14:03pcpenpal : 배타적인 기술 추구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이죠. 물론 어떤 기술을 선호하는 걸 뭐라고 해서는 안 되겠지만...
10.03.23 14:03다즐링 : 와~ x86도 아니고 arm이군요. 좋다~
10.03.23 14:03fupfin x86 어셈은 2학년때 합니다.
10.03.23 14:13다즐링 : 캑! 4년이 너무 짧겠습니다.
10.03.23 14:19글쎄요 전 대졸하려면 기본으로 저정도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셈은 대략 3가지는 배워야하고 알고리즘 디비 컴파일러 등등..
10.03.23 14:20전 전공으로 대부분의 학점을 채웠죠.
10.03.23 14:20다즐링 님 넘 무서워요. ㅋㅋ 학과마다 좀 다르겠지만 전 언어 시간 좀 줄이고 설계나 분석 쪽을 조금 더 가르쳤으면 좋겠어요. 커뮤니케이션과 문서 작성하는 방법도…
10.03.23 14:23fupfin 대학교에서 언어도 가르키나요? 그런 학교가 어딨어요?? 1학년때 말곤 안가르키지 않나요?
10.03.23 14:28fupfin 저희학교는 설계나 분석이 3/4학년 과목에 많습니다. 근데 중요한건 언어보다 컴파일러나 관련 지식이 필요한데 그걸 못하는 사람이 많다는거.. 설계나 분석도 코딩하다보면 느는건데 그걸 굳이 방법론을 통해서 배우는 이유도 잘 모르겠네요.
10.03.23 14:29다즐링 : 그럼 다행이구요. 최근 전산과 커리는 잘 몰라서... 그런데 어셈블러도 언어 아닐지...;;;
10.03.23 14:30fupfin 어셈에 대해서 배우는 이유는 arm 구조나 mips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배우는거죠. 어셈에 왜 이렇게 아규먼트가 넘어가는지 니모닉이 어떻게 인코딩 되는지를 배우는거죠.
10.03.23 14:31다즐링 : 결국 전산과도 세분화되어야겠군요. 아니면 학교마다 전산을 바라보는 철학을 분명히 하거나...
10.03.23 14:32fupfin 세분화한다는게 전 좀 더 이상하구요. 설계나 아키텍쳐 지향 이런건 좀 싫네요. 하다보면 자동으로 되는건데 .. 물론 good parts 를 배우는건 좋음 딱히 과목으로 나올필요까지는 없을듯합니다.
10.03.23 14:33다즐링 : 그런데 그 good parts라는 게 논쟁이 치열한... 합의가 안 된 영역이라서요. ^^
10.03.23 14:33fupfin 차라리 커뮤니케이션이나 / 글 쓰는법 / 고객을 대하는법 / 사람상대법이 더 중요한듯..
10.03.23 14:34fupfin 뭐 그거야 개인판단이죠. 코딩을 해보면 뭐가 나쁜지 아닌지 알수 있습니다. ㅎㅎ 물론 상황마다 다름
10.03.23 14:35다즐링 : 저도 방법론은 별로 안 좋아해요. ^^ 커뮤니케이션은 정말 중요한...
10.03.23 14:43반성...-,-
10.03.23 15:12그린 : 손 들고...(응?!)
10.03.23 1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