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P는 현실 세계에서 사물이 존재 방식대로 프로그램을 짤 수 있도록 하는 좋은 방식이라는 식의 설명은 좀 없어져 줬으면 좋겠다. 그딴 말 하고 싶음 철학과를 가거나... 10.03.30 16:16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 그렇게만 배워서... 만약 저 설명을 다른 설명으로 치환한다면 어떤 설명이 좋을까요?
원래 OOP는 생물학자가 만들었다는 얘기가...
그냥 모듈화 방식일 뿐입니다. 먼저 기술이 개발 되었고 나중에 Object Oriented라는 말이 붙었는데 이때 부터 철학의 인식론적인 해석이 들어오더니 산으로 프로그래밍 방법론이 무슨 구름위로 올라가서...
yongs ㅋㅋㅋㅋㅋㅋㅋ
yongs Alan Kay 는 수학과 분자 생물학 전공입니다.
그래야 사기를 치죠..(응?)
학교다닐 때 딱 그렇게 설명하는 교수가 있었죠... 안습이었습니다... ㅠㅠ
저도 학교다닐때 교수님이 저렇게 설명하셨지요 ㅠ; 직접 부딪혀보고 공부해보니 이건 대표적인 삽질케이스가 등장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ㅎ
결국 복잡한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현실 세계에서 얻은 것과 현실 세계를 그대로 따라야 한다는 건 다른 건데 그걸 구별 못하는 거죠.
앨런 케이 아저씨도 object 라는 단어보다는 messaging이 중요하다고 하셨..
종텐 : object라는 용어는 simula에서도 사용되기는 했죠. 문제는 용어가 아니고 그 용어를 시발로 상상의 나래를 편 몽상가들...
fupfin 아 그런거였군요....저에게 OOP는 그냥 편한것. 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지요..
fupfin 현실 세계를 그대로 따라야하는게 OOP라면 매트릭스 정도는 만들어야 "야~너 OOP좀 하는구만 ~~" 하는걸까요?ㅎ
다른 분들은 어떻게 느끼고 반영하실지 모르겠지만, "현실속의 객체를 본다" -> "될까?안될까 생각한다" -> "안된다" -> "실패" 된다 -> "성공"
"현실 세계에서 사물이 존재 방식대로 프로그램을 짤 수 있도록 하는 좋은 " 이 말로만 풀이하면...사람도 만들기세..
이 글은 fupfin 님의 말씀에 적극 동의합니다^^
fupfin 님 글을 주욱 읽다 보면 은근 배우는게 많아서 좋아요.
오타대마왕 : 착각입니다. -_-
fupfin 아뇨.. 제가 가장 득하고 싶은 개그 센스를 가지고 계십니다....(진심으로....)
제가 처음 자바 배울 때는 무지 많이 들었던 이야기네요.
철학과에서 뵈요 ㅡ.ㅡ;
하지만 전 그렇게만 배워서... 만약 저 설명을 다른 설명으로 치환한다면 어떤 설명이 좋을까요?
10.03.30 16:20원래 OOP는 생물학자가 만들었다는 얘기가...
10.03.30 16:20그냥 모듈화 방식일 뿐입니다. 먼저 기술이 개발 되었고 나중에 Object Oriented라는 말이 붙었는데 이때 부터 철학의 인식론적인 해석이 들어오더니 산으로 프로그래밍 방법론이 무슨 구름위로 올라가서...
10.03.30 16:24yongs ㅋㅋㅋㅋㅋㅋㅋ
10.03.30 16:31yongs Alan Kay 는 수학과 분자 생물학 전공입니다.
10.03.30 16:48그래야 사기를 치죠..(응?)
10.03.30 16:53학교다닐 때 딱 그렇게 설명하는 교수가 있었죠... 안습이었습니다... ㅠㅠ
10.03.30 16:56저도 학교다닐때 교수님이 저렇게 설명하셨지요 ㅠ; 직접 부딪혀보고 공부해보니 이건 대표적인 삽질케이스가 등장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ㅎ
10.03.30 17:14결국 복잡한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현실 세계에서 얻은 것과 현실 세계를 그대로 따라야 한다는 건 다른 건데 그걸 구별 못하는 거죠.
10.03.30 17:18앨런 케이 아저씨도 object 라는 단어보다는 messaging이 중요하다고 하셨..
10.03.30 17:30종텐 : object라는 용어는 simula에서도 사용되기는 했죠. 문제는 용어가 아니고 그 용어를 시발로 상상의 나래를 편 몽상가들...
10.03.30 17:41fupfin 아 그런거였군요....저에게 OOP는 그냥 편한것. 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지요..
10.03.30 17:51fupfin 현실 세계를 그대로 따라야하는게 OOP라면 매트릭스 정도는 만들어야 "야~너 OOP좀 하는구만 ~~" 하는걸까요?ㅎ
10.03.30 17:52다른 분들은 어떻게 느끼고 반영하실지 모르겠지만, "현실속의 객체를 본다" -> "될까?안될까 생각한다" -> "안된다" -> "실패" 된다 -> "성공"
10.03.30 17:54"현실 세계에서 사물이 존재 방식대로 프로그램을 짤 수 있도록 하는 좋은 " 이 말로만 풀이하면...사람도 만들기세..
10.03.30 17:54이 글은 fupfin 님의 말씀에 적극 동의합니다^^
10.03.30 17:55fupfin 님 글을 주욱 읽다 보면 은근 배우는게 많아서 좋아요.
10.03.30 20:38오타대마왕 : 착각입니다. -_-
10.03.30 20:42fupfin 아뇨.. 제가 가장 득하고 싶은 개그 센스를 가지고 계십니다....(진심으로....)
10.03.30 20:49제가 처음 자바 배울 때는 무지 많이 들었던 이야기네요.
10.03.30 22:37철학과에서 뵈요 ㅡ.ㅡ;
10.03.31 0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