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패턴은 몰라도 TDD는 가능하다고 봐요. 그건 고급 기법이라기 보다는 습관이라서... 10.08.24 10:26

SW개발자의 수명을 30년으로 잡는다면 신입에게 패턴이나 TDD를 가르치는 것은 성급하다는 생각이 든다. 긴 호흡으로 기초부터 다지게 하는 것이 중요할듯 by 선이

미투 2 사이다 lahuman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지머 Gloridea

TDD가 진짜 습관만의 문제일까요? 그보다는 S/W 기본기를 모두 동원해야 하는 종합 예술에 가까운 거 아닐까 싶은데요...

10.08.24 10:34
fupfin fupfin

Gloridea 그건 TDD를 잘 해서 실 업무에 쓸 수 있는 수준일 때인데 그 수준이 되면 TDD만이 아니라 프로그래밍 자체가 종합 예술이 아닐까요? ㅎㅎ

10.08.24 10:38
지머 Gloridea

fupfin 중요성을 알면서도 TDD를 선뜻 못하는 사람들을 보면, 의지가 부족하다기보단, 리팩토링, 패턴, 아키텍처, 언어명세, 모든 부분에 있어서 향상이 필요하더라구요. 가장 크게는, 코드를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바꾸는 일에 익숙하지가 않아 보였어요.

10.08.24 10:41
fupfin fupfin

Gloridea 전 그냥 즐기라고 하는 편입니다. 프로그래밍도 오랫동안 했지만 여전히 어려운데 TDD라는 생소한 습관을 어느날 잘 할 수는 없겠죠. 아무리 야구를 잘하는 사람이라도 하루 아침에 축구를 야구하는 수준으로 잘 할 순 없으니...

10.08.24 10:43
지머 Gloridea

fupfin 즐기는 게 중요하다는 데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 근데 너무 막막하고 계속 좌절하면 오히려 부정적 감정만 기억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10.08.24 10:48
지머 Gloridea

그래서 저는 모든 품질 활동 중 코드 리뷰를 제일 먼저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과물을 낼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적게 가져도 되고, 양질의 피드백을 빨리 얻을 수 있으니까요. ㅎㅎ

10.08.24 10:49
fupfin fupfin

Gloridea 네. 너무 이상적이면 안 되겠죠. TDD의 효과를 얻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물론 아주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프로젝트는 계속 되어야만 하니까요. ㅎㅎ 그런데 전 코드리뷰에 비할만한 에자일 기법은 짝프로그래밍이라고 생각합니다. ^^

10.08.24 11:02
지머 Gloridea

fupfin 말씀하신대로 짝 프로그래밍이 더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도입 저항도 굉장히 큰 게 문제죠 ㅜ.ㅜ

10.08.24 11:09
그냥허니몬 허니몬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부터 TDD를 배우면 참 좋은데... 학교나 교육기관이나 그러질 않아요. ㅎㅎ 한동안 놀다가 TDD를 연마하니 잼있어지려하고 있지만!! 생소한 상황에서는 어찌해야할지 아직 먹먹해요. ㅎㅎ

10.08.24 11:11
fupfin fupfin

Gloridea 맞습니다. TDD보다 더 힘든게 짝이죠. ^^ 이합집산하는 SI 프로젝트 팀에게는 정말 힘든 기법들이에요.

10.08.24 11:14
Toby Toby

고급 습관이죠

10.08.24 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