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 단위로 개발할 때는 TDD가 참 자연스러운데 소비자-생산자를 동시에 작성하거나 코드 생성기를 이용할 때는 타이밍을 잡기가 어렵다. 10.11.09 01:44
tdd junit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그럴 때는 한발짝 물러서서 큰 보폭으로 TDD를 하게되는 것 같아요. DAO가 자동생성된다면 이를 사용하는 Service layer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다거나, 소비자 코드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놓고, 소비자-생산자를 동시에 작성한다거나..
benelog 저도 굳이 짧은 보폭의 단위테스트 보다는 인수 테스트 성격의 통합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해 놓고 들어가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그렇다면 그건 BDD 인가요?
k16wire BDD가 더 인수 테스트에 용이하지만 꼭 BDD로 할 필요는 없어 보이고요. 암튼 보폭과 작성 시기에 관한 단상이었습니다. ^^
언제 커피한잔. 하시죠.
성현1 담 주 쯤에 시간이 좀 날 것 같아요. 연락 드릴께요. 헥헥
그럴 때는 한발짝 물러서서 큰 보폭으로 TDD를 하게되는 것 같아요. DAO가 자동생성된다면 이를 사용하는 Service layer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다거나, 소비자 코드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놓고, 소비자-생산자를 동시에 작성한다거나..
10.11.09 08:08benelog 저도 굳이 짧은 보폭의 단위테스트 보다는 인수 테스트 성격의 통합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해 놓고 들어가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10.11.09 09:48그렇다면 그건 BDD 인가요?
10.11.09 14:13k16wire BDD가 더 인수 테스트에 용이하지만 꼭 BDD로 할 필요는 없어 보이고요. 암튼 보폭과 작성 시기에 관한 단상이었습니다. ^^
10.11.09 14:25언제 커피한잔. 하시죠.
10.11.09 16:31성현1 담 주 쯤에 시간이 좀 날 것 같아요. 연락 드릴께요. 헥헥
10.11.09 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