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지금 보기 시작했는데 얼랑 창시자 죠 암스트롱이 OOP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캡슐화와 메시징을 뽑으면서 객체, 클래스, 메서드는 사소하다고 한 점이 마음에 든다. 10.11.24 10:24

스칼라, 얼랑, F# 창시자가 모여 함수형 언어를 논하다 by fupfin

미투 3 아라크넹 쭈니 안드로이드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마사키군 마사키군

전 영어라서 못봤어요 oTL

10.11.24 10:25
fupfin fupfin

마사키군 인터뷰 한 내용이 밑에 글로 써 있어요. ㅎㅎ

10.11.24 10:27
fupfin fupfin

Toby 객체는 캡슐화의 결과이고 메서드는 메시징의 방편이라는 뜻이지 대략 이런 뜻

10.11.24 10:53
fupfin fupfin

Toby 캡슐화가 핵심이라는 거지 그게 다라는 말은 아니삼. 캡슐화와 메시징을 "강조"해줘서 고맙다 정도?

10.11.24 11:08
fupfin fupfin

Toby 음... 암스트롱가 마이너하다고 한 걸 내가 사소하다고 한 건데 좀 느낌이 다를려나? ㅋㅋ 암튼 OOP가 캡슐화라는 더 근본적인 프로그래밍 원칙의 산물이라는 점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어서 쓴 글이라능...

10.11.24 11:28
홍민희 홍민희

Alan Kay가 쓴 글 도 참고해보세요. 메세징과 다형성이 OO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것 같습니다.

10.11.24 14:12
홍민희 홍민희

클래스나 상속은 확실히 사소한 것 맞는 것 같고요. 다형성과 일반화/특수화를 하기 위한 여러 매커니즘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10.11.24 14:14
홍민희 홍민희

다른 유명한 매커니즘으로는 프로토타입과 복제가 있고요.

10.11.24 14:14
달리나음 달리나음

클래스 기반 프로그래밍 기법이 OOP의 구현 방식으로 등장한 거니깐요. 홍민희옹이 말씀하신 것 처럼 OOP의 origin은 클래스 기반 프로그래밍과 거리가 있습니다. Toby님의 비판은 OOP 대가들의 주장과는 매우 거리가 있는 것입니다.

10.11.24 14:31
달리나음 달리나음

FP에서도 다형성은 존재합니다만 메시징에 의해 발현되는 다형성과는 다릅니다. 모델을 캡슐화를 해서 메시징을 보내는 것이 핵심이지요.

10.11.24 14:41
fupfin fupfin

달리나음 음... 클래스나 객체가 OOP의 원형과 거리가 있다는 건 좀 과격(?)한 주장 같습니다. 적어도 연대기적으로 보면 시뮬라에서부터 스몰톡까지 분면 클래스와 객체 구조는 전통적인 OOP에서 있었구요. 오히려 프로토타입이 나중에 나왔다고 할 수 있죠.

10.11.24 14:44
fupfin fupfin

홍민희 분명히 OOP의 전형인 시뮬라 67 때만해도 메세징은 중요하지 않고 캡슐화를 차원애서 클래스와 객체가 고안되었는데 스몰톡에 와서는 메시징이 오히려 더 강조되게 되게 되었죠. 그런데 경험해 본 프로토타입 언어는 JS 밖에 없네요. ^^

10.11.24 14:48
홍민희 홍민희

JavaScript는 pseudo constructor 때문에 프로토타입을 제대로 경험해보기 힘든 것 같아요. 요즘에는 Class-based OO 프레임워크 위에서 개발하는 경우가 많으니 더 그렇고요. Self나 Io를 해보시면 감히 더 잘 와요.

10.11.24 14:54
달리나음 달리나음

애초 OOP를 생각하던 이들의 방향이 메시징이었기 때문입니다. 객체는 애초에 메시징이 핵심이었는데 오히려 구현에서 발현된 클래스가 더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죠. 시뮬라의 클래스가 오히려 객체와 메시징 보다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된 모양이라 생각합니다.

10.11.24 14:57
달리나음 달리나음

초기 레거시가 초기 OO의 의도와는 다르게 클래스라는 도구에 사람들을 얽매이게 한게 아닌가 아쉬운 생각이 듭니다.

10.11.24 14:59
fupfin fupfin

달리나음 클래스를 별로 안 좋게 생각하시나보군요. ^^ 전 아직 클래스도 잘 못 쓰는 사람이라서... ㅠㅠ 좋은 글 고맙습니다.

10.11.24 17:14
석

fupfin 단순히 객체라는 개념과 다형성이 중요한 것이다!라고 생각했는데, 댓글을 보니 정말 구체적인 생각들이 있으신 것 같네요. 또 한번 자극 받고 갑니다.

10.11.25 0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