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NoSQL의 성능이 (일반 RDBMS에 비해) 안 좋다고 불평하는데 NoSQL은 단일 인스턴스의 성능보다 분산이 핵심 아닌가? 11.02.21 10:45
페슝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그런것 같습니다. NoSQL내에서도 용도에 따라서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보통 쓰기 속도는 NoSQL이 더 빠르지 않나요? 어디에 성능에 초점을 맞추는가가 중요할듯.
아, 쓰기가 Eventually Consistency라는 단점이...
MySQL 써봤다고 RDBMS 다 써본 것은 아니죠! =3
RedBaron 아직도 제게 MySQL은 RDMBS라기 보다는 스마트 스토리지일 뿐...;;;
NoSQL의 장점은 시도 때도 없이 마음이 바뀌는 갑님을 모실때 자유로운 스키마 변경이 핵심..;
xissy ACID가 꼭 필요한 영역은 생각보다 많지 않으니까요. (갑자기 새콤달콤이 먹고 싶...)
짹 아웅~ 굿이에요.
웬만한 규모 아니면 RDBMS로도 충분하긴 한데, 갑자기 scaling이 필요할 때를 대비한다면 NoSQL 계열 DB도 괜찮을 것 같아용;
디토 대규모 웹 사이트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라면 애초에 NoSQL로 가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아니면 Google App Engine으로 갈 생각이던지...
그런것 같습니다. NoSQL내에서도 용도에 따라서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11.02.21 10:47보통 쓰기 속도는 NoSQL이 더 빠르지 않나요? 어디에 성능에 초점을 맞추는가가 중요할듯.
11.02.21 10:48아, 쓰기가 Eventually Consistency라는 단점이...
11.02.21 10:49MySQL 써봤다고 RDBMS 다 써본 것은 아니죠! =3
11.02.21 11:28RedBaron 아직도 제게 MySQL은 RDMBS라기 보다는 스마트 스토리지일 뿐...;;;
11.02.21 11:44NoSQL의 장점은 시도 때도 없이 마음이 바뀌는 갑님을 모실때 자유로운 스키마 변경이 핵심..;
11.02.21 11:50xissy ACID가 꼭 필요한 영역은 생각보다 많지 않으니까요. (갑자기 새콤달콤이 먹고 싶...)
11.02.21 12:56짹 아웅~ 굿이에요.
11.02.21 12:56웬만한 규모 아니면 RDBMS로도 충분하긴 한데, 갑자기 scaling이 필요할 때를 대비한다면 NoSQL 계열 DB도 괜찮을 것 같아용;
11.02.21 13:20디토 대규모 웹 사이트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라면 애초에 NoSQL로 가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아니면 Google App Engine으로 갈 생각이던지...
11.02.21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