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크롬 만화를 보면 한동안 진행되었던 멀티프로세서와 멀티쓰레디드의 공방이 생각난다. 당시에는 고성능을 내세운 멀티쓰레디드 진형이 안정성을 내세운 멀티프로세서 진형의 방어를 무력화시켰지만, 이제는 사람들이 성능보다 안정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기 시작한 듯하다. 08.09.29 20:45
concurrency multiprocessor multithreaded 한글로 읽으니 훨씬 좋네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핑백이.... 5줄로 웃기는 글에 달렸어요 --;
그러게요. 지금 알았는데 이미 늦었...;;;
미치겠;ㄷㄷ
저도 Thread 를 선호했지만, 비정상종료에 의한 전체 프로세스 종료 때문에 어지간히 머리가 아팠습니다. 그래서 크롬 설계를 보고는 적지 않게 놀랬는데.. 이런 발상 전환을 하는 것이 구글의 매력인가 봅니다
사진찍는프로그래머 사실 동시에 많은 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는 멀티쓰레드나 그보다 더 나은 뭔가가 필요하기는 하지요. 하지만 모든 처리를 멀티쓰레드로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프로그램에서 버그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더욱...
핑백이.... 5줄로 웃기는 글에 달렸어요 --;
08.09.29 20:46그러게요. 지금 알았는데 이미 늦었...;;;
08.09.29 20:47미치겠;ㄷㄷ
08.09.29 20:48저도 Thread 를 선호했지만, 비정상종료에 의한 전체 프로세스 종료 때문에 어지간히 머리가 아팠습니다. 그래서 크롬 설계를 보고는 적지 않게 놀랬는데.. 이런 발상 전환을 하는 것이 구글의 매력인가 봅니다
08.09.30 08:39사진찍는프로그래머 사실 동시에 많은 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는 멀티쓰레드나 그보다 더 나은 뭔가가 필요하기는 하지요. 하지만 모든 처리를 멀티쓰레드로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프로그램에서 버그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더욱...
08.09.30 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