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에만 스타일을 지정한다고 했을 때, 전체적인 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닐까요. 전에 어디선가 본 폰트만들기의 어려움이 잘 서술된 글에선 vector type 의 동일한 글자의 경우에도 해상도에 따라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해상도 별로 hint 를 따로 주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동일 글자에 대해서도 저리 힘든데, 하물며 조합까지 생각하면 꺄호~
작은 크기로 렌더링 할 때에 힌트를 줘야 하는 것은 맞지만 전체 작업이 다 그렇게 세밀한 조작이 필요하지는 않을 듯 합니다. 100% 자동 생성까지는 어렵다고 해도 80% 정도 단순 작업은 자동 생성하고 나머지 손 보는 작업만 사람이 한다고 해도 비용 절감은 상당할 것 같아요.
그죠. 네모꼴 문제와 힌팅, 커닝은 다른 문제죠. 저는 HTML과 CCS 처럼 글꼴을 여러 요소의 조합으로 구조화 할 수 있고 각 요소의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는 방법만 있다면 어느 정도 기본적인 글꼴은 자동 생성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말이었습니다. 예전에 레스터에서 백터로 넘어오는 중에 글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려고 글꼴을 요소의 조합으로 처리하려는 시도도 있었던 것으로 압니다.
요소에만 스타일을 지정한다고 했을 때, 전체적인 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닐까요. 전에 어디선가 본 폰트만들기의 어려움이 잘 서술된 글에선 vector type 의 동일한 글자의 경우에도 해상도에 따라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해상도 별로 hint 를 따로 주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동일 글자에 대해서도 저리 힘든데, 하물며 조합까지 생각하면 꺄호~
08.10.16 11:34작은 크기로 렌더링 할 때에 힌트를 줘야 하는 것은 맞지만 전체 작업이 다 그렇게 세밀한 조작이 필요하지는 않을 듯 합니다. 100% 자동 생성까지는 어렵다고 해도 80% 정도 단순 작업은 자동 생성하고 나머지 손 보는 작업만 사람이 한다고 해도 비용 절감은 상당할 것 같아요.
08.10.16 11:41한겨레에서 탈네모꼴(맞나?^^;) 형태의 폰트를 발표할 때 봤던 내용은 우리가 너무 네모틀 안에 우겨넣으려는 강박관념하에 한글 폰트를 만드려고 하다보니 이래 일이 복잡해졌다고 하네요. 하여간 뭔가 좋은 방안이 나와서, 이쁜 한글폰트들이 많아져야 할 텐데요.
08.10.16 11:46맞습니다. 사실 안상수 교수님의 시도가 20년이 넘었는데도 여전히 네모 안에 가둬두고 있네요.
08.10.16 11:53극단적인 예로는 김용묵님이 만드신 직결식 글꼴이 있죠. 한글 글꼴이 아니라(?) 영문 글꼴인데 키보드로 입력되는 글자들을 세벌식 자소에 맞춰 그려놔서 영타 상태에서 그냥 세벌식으로 주욱 치면 한글이 되어 나오는..;;
08.10.16 14:22(물론 이건 두벌식에서는 불가능하죠. 세벌식은 초성 중성 종성이 다 구분되어 있으니까 가능...)
08.10.16 14:22ttx라는 툴이 있습니다만, hinting과 kerning이 필수인 건 사실입니다. 네모꼴이라서 생기는 문제만은 아니죠.
08.10.16 14:34아침놀 우와... 이거 풀어쓰기가 세벌식과 만나 진화한 형태 같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08.10.16 14:55그죠. 네모꼴 문제와 힌팅, 커닝은 다른 문제죠. 저는 HTML과 CCS 처럼 글꼴을 여러 요소의 조합으로 구조화 할 수 있고 각 요소의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는 방법만 있다면 어느 정도 기본적인 글꼴은 자동 생성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말이었습니다. 예전에 레스터에서 백터로 넘어오는 중에 글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려고 글꼴을 요소의 조합으로 처리하려는 시도도 있었던 것으로 압니다.
08.10.16 14:59고수들의 대화....... ;;
08.10.17 0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