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A가 모델링하는 우리나라 개발 현장. "우리 서비스는 성능이 중요합니다" 11.12.15 10:07
오라클은 DBA 핸드북에 모델링과 쿼리 최적화 부분을 추가하라!!!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모델러가 따로 있긴 해야겠지만... 개발자가 모델링하고 프로그램 개발하고 데이터 전환하고 쿼리 만들고 인덱스 만들고 튜닝하기까지 하는 것보단 낫지 않나요.
Web Programming Beginner's Guide에 저거 다 들어가야 된다는...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하는 게 왜 문제인가요? 많은 일을 혼자 다 한다면 그게 문제일지는 모르지만... 저 일은 DBA보다 개발자가 더 적합한 일 아닐지...
fupfin 거기다가 DB 스토리지 산정도 하고... 여기까지 개발자가 하면 DBA가 도대체 뭘 하는 지 알 수 없는 지경이 되버리잖아요. DBA 권한만 주면 보안패치니 뭐니 하는 것 까지 어렵지 않게 해줄 수 있는데...
fupfin 서버 관리야 어치피 웹서버도 다 직접 모니터링하고 배포하고 내렸다 올리고 다 하는데 모니터링 툴만 DB에 붙여주면 그것도 하는 김에 개발자가 다 하고... =-=-
fupfin 제 생각에는 각자가 중점적으로 책임지고 할 부분이 있으나 모델러가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개발자와 DBA가 코웍을 해야 할 부분인 것 같아요. 개발자가 모델링하면 DBA가 물리모델쪽 검토 한 번 해주고 튜닝도 어느 정도 지원해주고....
안드로이드 지금 계신 열악한 상황이야 이해 되지만 그 상황 자체를 상수로 두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더 문제가 악화될 수도 있지 않을지요.
안드로이드 오라클 DBA 핸드북을 보면 모델링 부분은 당연히 없고 쿼리 튜닝 부분도 거의 없어요.
fupfin 음... 말씀하신 대로 제가 스트레스가 심해서 심사가 좀 꼬여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원칙적이고 원론적인 기준을 바로 잡는 것부터 생각해야 할지도. 결국 이런 식의 논란을 해결하는 제일 간단한(하지만 어려운) 방법은 역할별로 사람을 따로 쓰는 거죠. 에효~~
fupfin 그렇긴 하죠. 하지만 우리나라 현실은 소수의 몇몇 영역을 제외하고는 하나만 잘 해서 되는 상황도 아니잖아요. 개발자가 요구사항 분석부터 해서 아키텍처 잡고 DB모델링하고 튜닝하고 까지 다양한 부분집합을 수행하도록 요구받는 상황이고, DBA도 마찬가지고...
fupfin 여긴 대규모 DB하나와 대략 백개 정도로 추정되는(정확하게 파악해보지 않아서;;) DB가 운영이 되고 있는데 DBA수가 너무 적어서 그 사람들은 할 수 있는 일이 극히 제한적이에요.
DB 깔아달라면 깔아주고, 백업 돌려주고, 재난대비 복구 시나리오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DB 조사해서 삭제해주고. 테이블 생성하고 변경하는 것도 개발자가 쿼리 만들어서 넘겨주면 그냥 실행만 시키는 정도 =_=;;
아예 저처럼 최초에 DB 인스턴스 생성하는 것 이후로는 개발자가 전부 다 해결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해요; 우울하죠. 그래도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고 아는 사람들은 다 알만한 곳인데...
안드로이드 예. 저도 개발 환경 자체가 잘못 되었다는 생각에 쓴 글입니다. 상황은 놔두고 개발자만 어쩌자는 얘기가 아니라...
어... 모여서 이알 그림 같이 그리면 디비에이가 알아서 싹 다 고쳐서 해주는 건 줄알았는데 ㅡㅡa
DBA 아직 존재 하나요 ㅎㅎ
모델러가 따로 있긴 해야겠지만... 개발자가 모델링하고 프로그램 개발하고 데이터 전환하고 쿼리 만들고 인덱스 만들고 튜닝하기까지 하는 것보단 낫지 않나요.
11.12.15 10:09Web Programming Beginner's Guide에 저거 다 들어가야 된다는...
11.12.15 10:09안드로이드 개발자가 하는 게 왜 문제인가요? 많은 일을 혼자 다 한다면 그게 문제일지는 모르지만... 저 일은 DBA보다 개발자가 더 적합한 일 아닐지...
11.12.15 10:13fupfin 거기다가 DB 스토리지 산정도 하고... 여기까지 개발자가 하면 DBA가 도대체 뭘 하는 지 알 수 없는 지경이 되버리잖아요. DBA 권한만 주면 보안패치니 뭐니 하는 것 까지 어렵지 않게 해줄 수 있는데...
11.12.15 10:16fupfin 서버 관리야 어치피 웹서버도 다 직접 모니터링하고 배포하고 내렸다 올리고 다 하는데 모니터링 툴만 DB에 붙여주면 그것도 하는 김에 개발자가 다 하고... =-=-
11.12.15 10:17fupfin 제 생각에는 각자가 중점적으로 책임지고 할 부분이 있으나 모델러가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개발자와 DBA가 코웍을 해야 할 부분인 것 같아요. 개발자가 모델링하면 DBA가 물리모델쪽 검토 한 번 해주고 튜닝도 어느 정도 지원해주고....
11.12.15 10:21안드로이드 지금 계신 열악한 상황이야 이해 되지만 그 상황 자체를 상수로 두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더 문제가 악화될 수도 있지 않을지요.
11.12.15 10:21안드로이드 오라클 DBA 핸드북을 보면 모델링 부분은 당연히 없고 쿼리 튜닝 부분도 거의 없어요.
11.12.15 10:25fupfin 음... 말씀하신 대로 제가 스트레스가 심해서 심사가 좀 꼬여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원칙적이고 원론적인 기준을 바로 잡는 것부터 생각해야 할지도. 결국 이런 식의 논란을 해결하는 제일 간단한(하지만 어려운) 방법은 역할별로 사람을 따로 쓰는 거죠. 에효~~
11.12.15 10:25fupfin 그렇긴 하죠. 하지만 우리나라 현실은 소수의 몇몇 영역을 제외하고는 하나만 잘 해서 되는 상황도 아니잖아요. 개발자가 요구사항 분석부터 해서 아키텍처 잡고 DB모델링하고 튜닝하고 까지 다양한 부분집합을 수행하도록 요구받는 상황이고, DBA도 마찬가지고...
11.12.15 10:29fupfin 여긴 대규모 DB하나와 대략 백개 정도로 추정되는(정확하게 파악해보지 않아서;;) DB가 운영이 되고 있는데 DBA수가 너무 적어서 그 사람들은 할 수 있는 일이 극히 제한적이에요.
11.12.15 10:33DB 깔아달라면 깔아주고, 백업 돌려주고, 재난대비 복구 시나리오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DB 조사해서 삭제해주고. 테이블 생성하고 변경하는 것도 개발자가 쿼리 만들어서 넘겨주면 그냥 실행만 시키는 정도 =_=;;
11.12.15 10:34아예 저처럼 최초에 DB 인스턴스 생성하는 것 이후로는 개발자가 전부 다 해결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해요; 우울하죠. 그래도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고 아는 사람들은 다 알만한 곳인데...
11.12.15 10:35안드로이드 예. 저도 개발 환경 자체가 잘못 되었다는 생각에 쓴 글입니다. 상황은 놔두고 개발자만 어쩌자는 얘기가 아니라...
11.12.15 10:46어... 모여서 이알 그림 같이 그리면 디비에이가 알아서 싹 다 고쳐서 해주는 건 줄알았는데 ㅡㅡa
11.12.15 11:36DBA 아직 존재 하나요 ㅎㅎ
11.12.15 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