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현대의 라틴어다 12.03.17 09:17
교수라는 사람이 disruptive innovation을 파괴형 혁신이라고 부르다가 의미가 달라 와해형 혁신으로 바꿀까 했는데 입에 안 붙어 그냥 의미를 잘 살릴 수 있는 원어를 쓰기로 했단다. 편하네. 한국인 중에 disruptive의 뜻을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참 어려운 번역의 세계 ^^
서울비 번역은 정답이 없죠. 하지만 disruptive란 말도 애초에 크리스텐슨 교수가 정의한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지 않아서 교수가 개념을 재정의 했어야 했는데 번역은 왜 그렇게 안 하느냐는 거에요
제가 문외한이라, 정확히 어떤 지점에서 오해가 생기는 거죠?
서울비 무슨 오해를 말씀하시는지...
"disruptive란 말도 애초에 크리스텐슨 교수가 정의한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지 않아서" ... 이 말에 대한 보충설명을 듣고 싶어서요 ^^ ㅎㅎ
서울비 아! 예... 음... 일상 생활에 쓰이는 단어는 그 자체로의 의미가 어느 정도 모호해서 문맥을 떠나면 정확한 의미가 사라지는데요. 그래서 학문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개념을 한두 단어에 담을 때 자기가 이 단어를 어떤 의미로 쓰는지 정확히 정의한 후에 씁니다.
서울비 즉, disruptive innovation의 disruptive란 단어도 크리스텐슨 교수가 정의한 (세부적이고 특수한) 의미가 따로 있다는 거죠. 결국 핵심은 disruptive란 단어에 있는 게 아니라 새로 부여한 그 정의에 있는 것이죠.
서울비 그러니,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도 최대한 유사한 단어를 선택한 다음에 그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면 된다는 겁니다. disruptive란 단어에 얶매일 필요가 전혀 없죠.
^^ 감사합니다.
참 어려운 번역의 세계 ^^
12.03.17 09:22서울비 번역은 정답이 없죠. 하지만 disruptive란 말도 애초에 크리스텐슨 교수가 정의한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지 않아서 교수가 개념을 재정의 했어야 했는데 번역은 왜 그렇게 안 하느냐는 거에요
12.03.17 09:50제가 문외한이라, 정확히 어떤 지점에서 오해가 생기는 거죠?
12.03.18 13:34서울비 무슨 오해를 말씀하시는지...
12.03.18 13:35"disruptive란 말도 애초에 크리스텐슨 교수가 정의한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지 않아서" ... 이 말에 대한 보충설명을 듣고 싶어서요 ^^ ㅎㅎ
12.03.23 09:50서울비 아! 예... 음... 일상 생활에 쓰이는 단어는 그 자체로의 의미가 어느 정도 모호해서 문맥을 떠나면 정확한 의미가 사라지는데요. 그래서 학문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개념을 한두 단어에 담을 때 자기가 이 단어를 어떤 의미로 쓰는지 정확히 정의한 후에 씁니다.
12.03.23 10:14서울비 즉, disruptive innovation의 disruptive란 단어도 크리스텐슨 교수가 정의한 (세부적이고 특수한) 의미가 따로 있다는 거죠. 결국 핵심은 disruptive란 단어에 있는 게 아니라 새로 부여한 그 정의에 있는 것이죠.
12.03.23 10:18서울비 그러니,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도 최대한 유사한 단어를 선택한 다음에 그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면 된다는 겁니다. disruptive란 단어에 얶매일 필요가 전혀 없죠.
12.03.23 10:19^^ 감사합니다.
12.03.24 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