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모임에서 Node.js가 루비(RoR)처럼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너구리 님... 루비가 스몰톡처럼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던 엉클 밥 이 생각난다. "It was just too easy to make a mass" 12.05.12 19:02
내가 보기엔 node.js는 php에 가까운 특성이 있다. 접근하기 쉽고 언어적으로 취약하고 설계가 엉망이 될 가능성이 많아 개발자의 책임이 크다. 좋은 가이드가 필요하고 좋은 패턴이 보급되어야 한다.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mass > mess 하하하하하 오타 잡았다!
12.05.12 19:06스몰톡이 어케되았는지를 몰라서 ㅎㅎㅎㅎ 오늘 고생많으셨어요. 제가 무리하게 압박넣어서 잠도 잘 못 주무시고... 죄송요. 좋은 주말 되세요 :D
12.05.12 19:07네피림 부끄럽구요
12.05.12 19:10너구리 아니에요. 정말 유익한 모임이었어요. 다들 열정적이고 적극적이더라구요. 제가 준비가 부족해 죄송했습니다.
12.05.12 19:16동감입니다... JavaScript에는 enterprise급에 대한 더 많은 경험이 쌓여야 할것 같습니다.
12.05.12 19:35Outsider 오늘 수고하셨어요. enterprise 급일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ㅎㅎ
12.05.12 20:39fupfin 전 뭐 앉아만 있었는데요 발표준비 고생하셨습니다 자바같은 엔터프라이즈라기보다는 다량의 소스관리를 얘기한거였습니다
12.05.12 21:35Outsider 너구리 fupfin CoC나 Active Record를 퍼뜨린거나 보다나은 PHP로서의 의미라면 RoR은 성공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RoR이 java를 대체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들의 기대가 너무 컸던게 아닌가 싶어요.
12.05.12 21:59베네로그 기대만 못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저도 ror이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12.05.12 22:00너구리 fupfin Outsider node.js를 잘 모르지만, 실무에서 얄팍하게나마 RoR코드를 구경한 경험을 뒤돌아보면 개발자의 책임이 크다는 말씀에 공감이 가요.
12.05.12 22:02fupfin Outsider 너구리 node와 RoR은 또 다르겠지만 대체로 동적언어가 그런 성격이 있지않나..해요
12.05.12 22:04베네로그 루비 진영이 Enterprise Ready를 강조했고 켄트 벡도 언젠가 스몰톡이 자바를 대신하리라 여겼지만 그 이름이 루비일 줄은 몰랐다면 덕담을 했는데 좀 아쉽죠. 특히 한국에서는...
12.05.13 19:00Outsider 성공과 실패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죠. 하지만 루비로 밥 벌어 먹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선 실패... RoR의 개념을 퍼트렸다는 점에선 성공...
12.05.13 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