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한 두 패턴을 특별한 의미로 쓴다면 영어 이름을 그대로 써도 무방하다. 하지만, 언어로 쓰겠다면, 수시로 패턴 언어를 발전시키겠다면 반드시 우리말로 표현해야 하고 그렇게 하는 능력도 개발해야 한다. 12.08.07 22:30

미투 1 stella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꼬룸 꼬룸

패턴 자체가 의사소통 수단이기에 원문을 유지해야한다 Vs. 패턴은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고 그들간의 유직적인 관계가 형성하는 언어가 중요하니 말이 통해야 한다.

12.08.07 22:33
꼬룸 꼬룸

말이 안통하는건 공통의 voca도 모르는건데 뭘 어떻게 대화를하나. 영어단어도 모르는 사람과 영어로 얘기가되나?로 논쟁이 되곤 했던 것 같네요.

12.08.07 22:35
fupfin fupfin

꼬룸 의사소통에 쓴다고 할 때도 번역이 의미 있다고 봐요. 번역자나 패턴을 조기에 받아들이는 시람은 번역이 어색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개발자는 영어에 익숙하지 않죠

12.08.07 22:35
fupfin fupfin

꼬룸 외국 사람과의 소통은 차치하더라도 우리 끼리라도 소통해야겠죠.

12.08.07 22:36
꼬룸 꼬룸

패턴의 번역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게 일관성인 것 같아요. 공장(factory) 패턴이야 쉽게 번역되지만 싱글톤을 혼자만 패턴이라고 번역하면 어색하잖아요. 결국 영어를 찾지 못하고 그냥 통일해서 전부 영어로 된 느낌이 강해요.

12.08.07 22:39
fupfin fupfin

꼬룸 번역을 기계적으로 하지 않으면 좋은 역어는 많다고 보지만 통일 문제는 정말 시급합니다.

12.08.07 22:41
꼬룸 꼬룸

번역도 레거시가 존재하기에 패턴명==영어대로가 공식화된 것 같아서 좀 안타깝기는 해요. 사실 역자가 몇일씩 고민해서 패턴명을 번역해도 욕을 먹음 먹지 칭찬듣는 경우는 적은 것 아시잖아요. 전 한글화 시도에서 리팩터링 책 한글 번역이 매우 잘했다고 봐요.

12.08.07 22:44
fupfin fupfin

꼬룸 그러게 말입니다. 그래서 역자가 책임감도 있고 고집도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리팩터링 책 동의합니다.

12.08.07 22:47
꼬룸 꼬룸

그러고보니 리팩터링책 최초로 산 원서였던 것 같은데 내가 왜 번역서를 읽었는지 ㅋ

12.08.07 22:49
fupfin fupfin

꼬룸 굳이 역서를 읽을 필요는 없는 책임에도... ㅎㅎ

12.08.07 22:52
네피림 네피림

뭐 이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너무 쉽게 외국어로 그냥 가자고 하는 사람이 좀 아쉬운 1인...

12.08.07 22:53
fupfin fupfin

네피림 네네 김치하 교수님처럼 너무 실험적인 것도 문제겠죠.

12.08.07 2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