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15분 동안 Spring API 문서를 Tiles API 문서로 착각하고는 없는 클래스를 찾아 삼만리… 09.05.07 15:37
졸음코딩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요새 부쩍 정신이 없으신거 같아요 ㅋ
스프링 좋은가요. 요새 기프트카드가 남아서(;;;) Spring Recipes 보고 있는데 영 임팩트가 없네요. 핵심 피쳐가 없고 이것저것 다 좋게 해주는 게 핵심인건지..
rath : 핵심은 DI와 AOP이고 여기 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특히 Mission Statement에 표현된 것이 핵심이지요. 로드 존슨이 기존 EJB 기반의 J2EE 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전반적인 대안을 제시한 것이 Spring으로 정리된 것이니 좀 범위가 넓기는 하지만 핵심은 DI와 AOP라고 생각합니다.
댓글에 미투 하나
댓글에 미투 둘
AOP 부분 읽어봐야겠네요. DI는 아키텍트계 interface 중 하나인 것이니 패스하겠습니당~
rath : 그런데 DI가 필요 없다면 사실상 스프링을 쓸 이유가 없습니다. ^^ (저는 꼭 스프링을 써야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선택의 문제죠)
문제를 만나는 순간순간마다 무엇이 적합한지 고민하는 시간을 줄이고, 많은 상황에서 DI가 필요한 개발자들이 스프링을 선택하면 좋다. 정도로 보면 되겠군요!
요새 부쩍 정신이 없으신거 같아요 ㅋ
09.05.07 16:54스프링 좋은가요. 요새 기프트카드가 남아서(;;;) Spring Recipes 보고 있는데 영 임팩트가 없네요. 핵심 피쳐가 없고 이것저것 다 좋게 해주는 게 핵심인건지..
09.05.07 17:18rath : 핵심은 DI와 AOP이고 여기 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특히 Mission Statement에 표현된 것이 핵심이지요. 로드 존슨이 기존 EJB 기반의 J2EE 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전반적인 대안을 제시한 것이 Spring으로 정리된 것이니 좀 범위가 넓기는 하지만 핵심은 DI와 AOP라고 생각합니다.
09.05.07 17:38댓글에 미투 하나
09.05.07 19:23댓글에 미투 둘
09.05.07 19:32AOP 부분 읽어봐야겠네요. DI는 아키텍트계 interface 중 하나인 것이니 패스하겠습니당~
09.05.07 20:10rath : 그런데 DI가 필요 없다면 사실상 스프링을 쓸 이유가 없습니다. ^^ (저는 꼭 스프링을 써야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선택의 문제죠)
09.05.08 09:13문제를 만나는 순간순간마다 무엇이 적합한지 고민하는 시간을 줄이고, 많은 상황에서 DI가 필요한 개발자들이 스프링을 선택하면 좋다. 정도로 보면 되겠군요!
09.05.09 0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