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What kiiled smalltalk is that it was just too easy to make a mess. - 소내기 식 표현으로 바꾸면 "자유도가 높으면 좋은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어렵다." 09.05.13 10:43

미투 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Miracle Miracle

문법의 제약을 적게 받을 수록... 개발자 마음대로 개발할 수 있으니... 문법에 제약 좀 집어 넣어서... 컴파일 단계에서 에러가 나도록 해야... [ 글보러가기 ]

09.05.13 10:53
위숙 위숙

전 주황색 테두리 좋던데 =ㅅ=

09.05.13 10:57
위숙 위숙

ㄴ 엇 잘못 리플 달았답 ㅈㅅ

09.05.13 10:57
모꼬지 모꼬지

TDD(Test-Driven Development)에 대해 장황하게 설명하던데 TDD가 Ruby 개발에 핵심적인 개발방법론인가 부죠?

09.05.13 11:01
fupfin gEEkInsIdE

위숙 : 저도 주황색 테두리 좋아요. (응?)

09.05.13 11:01
fupfin gEEkInsIdE

모꼬지 : 저까지만 일단 들었어요. 이유를 들었으니 좀 쉬려고요. (영어 리스닝은 어렵… -_-);

09.05.13 11:02
fupfin gEEkInsIdE

Miracle : TDD도 그렇고 문제를 빨리 알아내는 것이 좋은 코드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죠. 저 처럼 머리 나쁜 사람은 역시 Strong Type 언어가 최고.. -_-

09.05.13 11:04
홍민희 홍민희

타입 이론(type theory)는 연역적이고 TDD는 귀납적이죠. 실전에는 둘 다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Haskell 같은 언어에서도 단위 테스팅은 하는데, 덕 타입 언어의 간결함과 표현력을 가지면서 기존 C++/Java 등의 언어보다 엄격한 타입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니 정말 짱이라는…

09.05.13 11:43
홍민희 홍민희

하지만 일반적으로 Haskell 입문은 정말 언어를 위해 뇌를 개조해야 하는 일이여서 결국 이상적일 뿐인;

09.05.13 11:44
fupfin gEEkInsIdE

홍민희 : Haskell 보다가 토 나오는 줄 알았어요. ㅠ.ㅠ

09.05.13 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