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민희
: 위에 링크 건 글이 결국 그런 내용이지요. ^^
rath
: Apache jakarta commons의 DbUtils가 조금 더 발전된 형태라고 생각합니다. 어서
KSUG
에 가입하시고 spring으로 오세연. ㅎㅎ
08.10.18 10:47
옆에 앉은 고수분 알고 보니 예전에 JBoss 메뉴얼을 번역하셨다고 한다. 이런저런 대화 중 "하이버네이트 사용하세요?"라고 물으니 "일할 때는 TopLink 씁니다. 하이버네이트는 돈이 안 되잖아요." "…그죠." (오픈소스로 돈 벌려면 직접 서비스를 만들어야.)
08.10.17 17:45
요소에만 스타일을 지정한다고 했을 때, 전체적인 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닐까요. 전에 어디선가 본 폰트만들기의 어려움이 잘 서술된 글에선 vector type 의 동일한 글자의 경우에도 해상도에 따라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해상도 별로 hint 를 따로 주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동일 글자에 대해서도 저리 힘든데, 하물며 조합까지 생각하면 꺄호~
작은 크기로 렌더링 할 때에 힌트를 줘야 하는 것은 맞지만 전체 작업이 다 그렇게 세밀한 조작이 필요하지는 않을 듯 합니다. 100% 자동 생성까지는 어렵다고 해도 80% 정도 단순 작업은 자동 생성하고 나머지 손 보는 작업만 사람이 한다고 해도 비용 절감은 상당할 것 같아요.
그죠. 네모꼴 문제와 힌팅, 커닝은 다른 문제죠. 저는 HTML과 CCS 처럼 글꼴을 여러 요소의 조합으로 구조화 할 수 있고 각 요소의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는 방법만 있다면 어느 정도 기본적인 글꼴은 자동 생성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말이었습니다. 예전에 레스터에서 백터로 넘어오는 중에 글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려고 글꼴을 요소의 조합으로 처리하려는 시도도 있었던 것으로 압니다.
function foo() { return false; }를 <a href="javascript:fee()">click me</a>로 호출 했을 때에 화면에 false가 찍히게 한 것도 무슨 이유가 있는 거겠지? 원칙을 따지면 이해가 되기도… (WebKit은 제외)
08.10.16 09:31
난 내 아들도 프로그래머하면 좋겠다고 말하니 여기 개발자들이 다 놀란다. 불쌍한 사람들… 이 재미있는 일을 죽지 못해 하다니… (개발자 수급 불균형 때문에 몇 달 교육만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지금 상황이 영원하지는 않을 것이란 말이지)
08.10.11 15:22
"대게 사람들은 위협당할 때 형편없어지네. 그런데 우리 문화가 사람들을 협박하거든. 우리 경제도 그렇고. <<중략>> 그리고 사람은 위협을 받기 시작하면 자기만 생각하기 시작하네. 돈을 신처럼 여기기 시작하는 거야. 그게 다 우리 문화의 속성이라구."
08.10.09 09:44
우리 인간의 최고 단점은 근시안이라는 점이야. 우리는 어떻게 될 수 있는지 보지 못해. 우리의 잠재력을 보고, 우리를 넓힐 수 있는 데까지 쭉쭉 넓혀가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지. 한데 '이제 난 내것을 갖고 싶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넘쳐나게 되면 결국 몇몇이 모든 것을 차지하게 되고, 그러면 가난한 자들이 들고 일어나네. 그럼 가진 자는 자신의 것을 훔쳐가지 못하게 군대를 써서 그것을 막게 되지.
PD-KB200B/U 전 이렇네요. 아이보리인뎅. 그게 그게 아닌듯.
08.10.20 14:41여기 를 보면 그렇게 되어 있...;;;
08.10.20 15:36제건 표에도 없는 짝퉁이란 말이던가요.
08.10.20 16:50해피 해킹에 짝퉁 출현 파문! ㅠㅠ
08.10.20 17:01-0-
08.10.20 19:41w=wide, u=unicode ^^;
08.10.21 10:18막 키보드가 알아서 유니코드로 입력해주고...;;;
08.10.21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