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분할 다중 인격 짝 프로그래머의 인과관계 없는 단상
bliss 님 그말 은 제 마나님께서 하셨습니다. ㅋㅋ(제 마님은 무서운 분. 약한 소리하면 얄짤 없어요.) me2mobile 이 시간에 안 주무실 것을 믿고 소환술
e4u 영한사전은 정말 꼬졌구나… me2sms
김창준님의 Wiki 사용 사례 를 보면 아직 Wiki가 충분히 보급되지도 Wiki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도 않은 것 같다. (Wiki를 쓸까? 하다가 너무 단순하다는 이유로 복잡한 툴을 찾았던 일이 한두번도 아니고...)
소프트웨어 테스팅 표준의 활용과 인증 - 국제 표준, 인증... 이런 말만 봐도 삐딱해지는 난 역시 주류에 편입되기 어려울 것 같다. 국제 표준 인증 오픈소스 장인정신 애자일 돈은 어떻게 벌지? 로또?
RedBaron 님 C2H Group & Company에서는 ASP 사업 안 하시나요? 전자세금계산서 ASP 사업 조건이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SEAM이라면 금방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표준 기술만 쓰면 되네요.
원래 UI와 그래픽 효과에 무지 좋아했었는데 하다보니 UI 기술이 가장 취약하다. (관심은 아직도 많지만 할 기회가 점점 줄어드니…) me2term
정말 질퍽거리고 기술적인 매력이라고는 락스에 눈 소독하고 찾아봐도 없는 프로젝트인데 전자세금계산서 덕분에 좀 재미있을만한 구석이 생겼다.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서명 XML webservice WS-Security soap 암호화
DG 님이 스타트업엔 Rails가 최고라고 말했다 면 그런 거다. 그러니 자바 개발자라면 닥치고 KGGUG 가입. groovy grails kggug spring
야매로 만든 네이버 영영/영한/한영사전 - rath 님은 기술적 깊이와 폭을 균형감 있게 (기막힐 정도로) 잘 조절하는 개발자 같다. (내 미친이다.)
부트스트랩 하면 늘 어릴 때 재미있게 읽었던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에서 자기 머리를 손으로 집어 올려 수렁에서 말을 꺼내는 장먼을 떠올렸는데 원래 자주 인용 되는 거구나. bootstraping boot 허풍선이 남작 모험
겸손 하지만 자기 주장이 있는 사람. 좋은 토론 상대
MVC에 Groovy를 사용하는 roo plugin을 만들면 어떨까 생각하면서 이름을 gRoo로 생각해봤는데 위키 백과에 있네 ((이미 있으니 만들지 말아야지)) spring roo groovy java 원래 이름이 중요한 거니까
묵묵히 견디는 참을성이 있거나 과감히 떠나는 결단력이 있거나 - 둘 중 어느 것을 선택하야 좋은지 모르는 게 문제가 아니고 둘 중 아무 것도 선택 안 하는 것이 문제 아닐까? 선택 책임 참을성 결단력 언제나 이유야 많지
스승이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게 참 부럽습니다. 청년 시절부터 멘토를 찾았지만 만나지 못한 것이 평생(다 살았냐? -_-)의 한입니다. 책에서만 따르고 싶은 롤 모델을 찾을 수 있다는 외로움
MBC PD 수첩 "행복을 배우는 작은 학교들" 시청 중. 정말 감동적이다. 왜 저런 학교가 특별한 사례여야 하는 건가? (저런 변화가 개발 현장에도 일어날 수 있다면…)
회사에 가져다 두었던 책 몇권을 집으로 가지고 가는 중. ((너무 무거워… 킨들이 필요해)) me2mms me2photo
이놈은 MG라서 좀 작지만 멋있네… me2mms me2photo
회사에 왜 이런 게 달려있는 거냐? me2mms me2photo
남대문 보석상가 건너편에 별다방 입점 예정. me2mms me2photo
Refcardz : Essential PostgreSQL - 본격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이 필요한 당신! 닥치고 다운 클릭!
다이나믹 타입 언어에서의 DI 문제 관련 글을 읽다 보면 디자인 패턴.. 아니 SOLID 같은 객체지향 원칙(그중에서도 핵심인 OCP )에 대한 고민 자체가 없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 흥미롭게 연구해 볼 주제 같다. Dynamic programming language OOD SOLID ruby 에서는 몇가지 패턴이 의미 없다는 얘기는 간혹 들었지만
아우… 터치가 싱크 안 된다. 어제 누전이 의심되는 LCD의 USB 포트에 연결한 것 때문에 전기적으로 쇼크를 먹은 것 아닐까?
DI에 관심이 있고 없는 이유 는 "코드는 만들기 어렵고 유지보수와 제작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가능한 재사용해야 한다" V.S. "코드는 만들기 쉬우니까 필요할 때 다시 만들면 된다" 아닐까요?
DI가 해결하는 문제 라는 게 뭘까요? ((몇번 질문을 해야 본질에 이를 수 있다고 했더라... )) DI IoC
캬! 버스 탔더니 쿠인의 "널 사랑하려고 태어난 거야"가 라디오에서 나오고 있다. me2sms queen i was born to love you
늘 느끼는 거지만 살면서 뛸 수 있을 때는 뛰는 게 좋다. (여유 부리다 전철을 놓침) me2sms
야근하는 팀원들을 뒤로하고 퇴근… 미안하네… ((미안해 하지 말아야 하는데)) me2sms
< 소내기 > 부모님이 그렇게 스프링공부하라고 하셨는데. 전 생짜 날코딩이 좋다고 하였죠 .ㅋㅋ < fupfin > 저런 불효자네 - "우리 모두 부모님 살아 계실 때 스프링으로 효도를..."
오호 Python도 Spring이 있네 ? Python 프로그래머들도 KSUG 로 ㄱㄱㅅ (Java, Net, Python 등 언어별로 분과를 만들어야 하나?)